아가서 3:1-11을 통해 보는 신앙의 여정
한밤중, 누군가를 간절히 찾는 마음.
아가서 3장은 단순한 사랑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리움과 기다림, 그리고 마침내 붙잡는 그 여인의 여정은,
오늘을 사는 우리의 신앙 여정과 너무도 닮아 있습니다.
이 글은 상사병처럼 주님을 갈망하는 이들에게 드리는 묵상입니다.
혹시 요즘, 주님을 찾고 계신가요?
놓쳐버린 주님의 손을 다시 붙잡고 싶은가요?
그렇다면, 이 말씀이 당신의 밤을 밝히는 새벽이 되길 소망합니다.
✨ 사랑하는 이를 찾는 밤, 신앙의 본질을 묻다
아가서 3장은 한 여인이 사랑하는 이를 찾아 한밤중에 성을 헤매는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내가 밤에 침상에서 내 마음으로 사랑하는 자를 찾았노라..."
이 말씀은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 우리가 믿음 안에서 주님을 어떻게 찾고 갈망해야 하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 여인은 사랑하는 이를 잊지 못해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결국 성안을 헤매며 그를 찾습니다. 이 절절한 그리움은 곧, 주님을 향한 간절한 신앙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 마음으로 사랑하는 자를 찾는 갈망
본문에서는 "내 마음으로 사랑하는 자"라고 표현되어 있지만, 영어 성경에서는 "My soul loves"라고 번역되어 있습니다.
즉, 단순한 감정이 아닌, 영혼 깊은 곳에서부터 울리는 사랑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주님을 찾는 마음이 바로 이와 같아야 하지 않을까요?
그저 필요할 때만 찾는 주님이 아니라, 영혼 깊은 곳에서부터 사랑하며, 그분 없이는 살 수 없다는 갈망으로 주님을 찾는 모습.
✨ 주님을 찾는 자에게 열려 있는 길
여인은 성을 순찰하는 자들에게도 물어봅니다. “내 마음으로 사랑하는 자를 너희가 보았느냐?”
이 모습은 마치 우리가 신앙의 여정에서 때로는 목회자나 믿음의 동역자들에게 의지하며 주님을 찾아가는 여정과도 닮아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주님은 결국 스스로의 발걸음으로, 간절함으로, 마음을 다해 찾을 때 만나진다는 것입니다.
이 여인은 결국 사랑하는 이를 만나고, 그를 붙잡아 자신의 어머니의 집으로 데려갑니다.
“그를 붙잡고 내 어머니 집으로, 나를 잉태한 이의 방으로 가기까지 놓지 아니하였노라.”
이 장면은 단순한 만남이 아니라, 삶 속으로 모셔오는 예배의 회복, 영혼 깊은 곳으로 주님을 초대하는 믿음의 고백입니다.
✨ 어둠 속에 주님을 부르는 기도, 바디메오의 외침
본문과 매우 유사한 이야기가 마가복음 10장에 등장합니다. 바로 맹인 바디메오의 이야기입니다.
그는 소망도 없이 어둠 속에서 살아가던 인물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이 지나가신다는 소식을 듣고 소리칩니다.
“다윗의 자손 예수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사람들이 조용히 하라고 말려도, 그는 더 크게 외칩니다.
진정한 믿음은 방해 앞에서도 꺾이지 않고, 더욱 간절히 주님을 찾는 용기입니다.
그리고 주님은 결국 그를 멈춰 서시고, “내가 너에게 무엇 해주기를 원하느냐”고 묻습니다.
그때 바디메오는 대답합니다.
“주님, 보기를 원하나이다.”
그의 믿음은 단지 눈을 뜨게 한 것이 아니라, 절망 속에 있던 인생을 회복시키는 기적을 낳았습니다.
✨ 주님을 만났을 때, 그 손을 절대 놓지 마십시오
아가서의 여인은 주님을 찾았을 때 놓치지 않습니다. 끝까지 붙잡고, 함께 집으로 향합니다.
이는 신앙의 가장 중요한 본질 중 하나인 '인내하는 믿음'을 말합니다.
마태복음 13장의 씨 뿌리는 자의 비유를 보면, 돌밭에 떨어진 씨는 처음에는 기쁨으로 자라지만, 뿌리가 얕아 고난이 오면 곧 시들어 버립니다.
우리가 주님을 만나 은혜를 누리는 것, 그 자체도 중요하지만, 그분을 끝까지 붙잡는 깊은 뿌리의 믿음이 더더욱 중요합니다.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이라는 유행어처럼,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믿음입니다.
✨ 혼인잔치의 시작, 다시 오실 주님을 맞을 준비
본문 후반부에는 솔로몬 왕이 은과 금으로 꾸며진 가마를 타고 왕관을 쓰고 등장합니다.
이는 신랑 대신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을 상징합니다.
요한계시록 19장에서도 우리는 이 장면과 마주하게 됩니다.
“어린양의 혼인잔치가 이르렀고, 그의 아내가 자신을 준비하였으므로…”
예수님은 반드시 다시 오십니다.
그때를 준비하는 자만이 혼인잔치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신랑이 오는데 신부가 준비되지 않았다면, 잔치에 들어갈 수 없습니다.
우리는 지금, 신랑을 기다리는 신부로서 깨끗한 세마포 옷과 성령의 기름을 준비해야 합니다.
그 기름은 바로 말씀과 기도, 성령 충만함으로 채워야 합니다.
✨ 결론 — 사랑은 님을 찾게 합니다. 그리고 그 님은 곧 주님입니다.
사랑은
님을 찾게 하고,
님을 붙잡게 하고,
님을 기다리게 만듭니다.
그 ‘님’ 앞에 ‘주’자를 붙여 보십시오.
우리가 찾고 붙잡아야 할 분은 바로 ‘주님’이십니다.
우리가 어둠 속에 있을 때, 고난과 외로움 속에 있을 때,
그 사랑하는 주님을 찾아 헤매는 영혼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그분을 만나게 되면, 놓지 말고, 끝까지 붙잡고,
혼인잔치의 기쁨에 참여하는 거룩한 신부의 삶을 살아가기를 소망합니다.
🌿 오늘의 적용과 묵상
오늘 본문은 단순한 옛 이야기나 시적인 표현이 아닙니다.
우리의 삶 속, 아주 현실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 내가 밤잠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사랑’은 누구이며, 무엇인가요?
- 그 사랑은 하나님을 향한 것입니까, 세상을 향한 집착입니까?
- 내가 마지막으로 주님을 간절히 찾은 때는 언제였습니까?
- 기도와 말씀으로 ‘주님을 붙잡는 믿음’을 실천하고 있나요?
- 나의 믿음은 잠깐 피었다가 지는 돌밭의 씨앗인지, 깊이 뿌리 내린 나무인지 돌아봅시다.
- 하루 5분이라도 ‘영혼이 주님을 그리워하는 글쓰기’를 해보세요.
- 예수님의 다시 오심을 준비하며, 오늘 하루를 ‘신부의 마음’으로 살아갑시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주님을 향한 갈망이 흐려지지 않도록,
오늘 하루에 딱 10분만이라도 침묵하며 주님의 음성을 듣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길을 걷다가 문득, 하늘을 바라보며 이렇게 속삭여 보세요.
“주님, 지금 제 마음이 당신을 찾고 있어요.”
그 작은 고백 하나가, 깊은 영적 여정을 다시 시작하게 할 수 있습니다.
🙏 오늘의 기도
주님, 어둠 속에서도 주님을 찾는 영혼이 되게 하소서.
사람들 틈에 있을 때에도, 고요한 침상 위에서도
영혼 깊은 곳에서 주님을 그리워하게 하소서.
저의 신앙이 흔들림 없는 뿌리를 내리게 하시고,
한 번 주님을 붙잡았다면 끝까지 놓지 않는 믿음을 주소서.
언제 오실지 모르는 신랑 대신 예수님을,
기쁨과 떨림으로 준비하며 살아가게 하소서.
세마포 옷처럼 깨끗한 마음,
성령의 기름처럼 충만한 삶,
말씀의 빛처럼 밝은 길 위에
오늘도 제가 서 있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 에필로그 — 주님을 찾는 길 위에서
당신의 하루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지나가는 날이라 해도,
혹은 너무 힘들어 눈물로 젖는 밤이라 해도,
그 속에 주님을 향한 작은 사랑 하나가 있다면,
그 하루는 영원한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주님은 오늘도 우리를 찾고 계십니다.
그리고 우리가 주님을 찾을 때,
그분은 반드시 만나주십니다.
그러니, 멈추지 마세요.
천천히라도, 때론 주저앉더라도,
다시 일어나 주님을 향해 걸어가세요.
사랑은 주님을 찾게 합니다.
그리고 그 사랑은,
오늘도 당신을 거룩하게 만듭니다.
'1. 설교 > 새벽설교 | 하루를 여는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가서 8장 설교 | 순결한 신부와 꺼지지 않는 사랑 [새벽설교] (62) | 2025.04.30 |
---|---|
[새벽설교] 하나님의 변함없는 사랑: 아가서 7장 1-13절 묵상 (76) | 2025.04.29 |
[사순절 | 고난주간 말씀] 누가복음 24장 36-53 — 부활하신 예수님이 주시는 평강과 성령의 사명 (76) | 2025.04.22 |
[사순절 |고난주간 말씀] 엠마오로 가던 두 제자, 그 길에서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나다 (누가복음 24장) (56) | 2025.04.21 |
[새벽설교] 멸망과 속량의 날 – 끝을 아는 자의 삶 (누가복음 21:20–28 묵상) (93) | 2025.04.11 |